WAN


한 조직내에서는 LAN을 통해 자유롭게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그러나 거리상에 멀리 떨어지거나 한 건물에 있지 않은 다른 조직 혹은 회사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려면 어떻게 해야 될까?

만약 A조직은 서울 B조직은 부산에 있다고 하자.

각 조직은 같은 건물에 있고 LAN으로 구성 되어 있다면 A 조직에서 B조직의 LAN에 어떻게 접속 할 수 있을까?

바로 WAN( wide Area Network )이 두 조직간에( 두 개의 LAN ) 연결을 해줄 수 있는 다리 역활을 한다.



WAN의 구성


우선 이해하기 쉽게 그림을 먼저 보도록 하겠다.


A 조직 본사와 A 조직 지사는 같은 회사지만 다른 건물을 사용하고 멀리 떨어져 있다.

이 둘 사이를 연결 해주는 것이 WAN이며 광역이더넷을 사용하였다.

그렇다면 A 조직 본사와 B조직 ( 다른 회사 ), 일반 가정집은 어떻게 연결하게 될까?

이들 사이도역시 WAN이 다리역활을 하며 인터넷을 통해 서로가 연결 될 수있도록 되어 있다.


[WAN 구축 운영 관리]

WAN은 국가에 통신 사업자 등록, 신고 한 전기 통신 사업자가 WAN을 관리하며

대표적인 회사는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가 있다.





반응형

'인프라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ping, traceroute, telnet 사용법  (0) 2017.10.05
[네트워크] IP 주소  (0) 2017.10.04
[네트워크] LAN(Local Area Network)  (0) 2017.10.03

ping, traceroute, telnet 사용법


특정 서버가 접속이 되지 않을 때 확인 할 수 있는 유용한 명령어 사용법을 설명하겠다.

ping은 목적지 서버를 통하는 네트워크 상태를 체크 합니다.

telnet은 목적지 서버의 해당 어플리케이션까지 살아 있는지 확인 합니다.

traceroute는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라우터를 모두 추적합니다.



ping 사용법


ping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

ping [목적지 IP주소]

ex) ping 204.111.111.1


사용 결과는...


ping 204.111.111.1

PING 204.111.111.1 (204.111.111.1) : 56 data bytes

 64 bytes from 204.111.111.1: icmp_seq=0 ttl=228 time=92.552ms

 64 bytes from 204.111.111.1: icmp_seq=1 ttl=228 time=95.352ms

 64 bytes from 204.111.111.1: icmp_seq=2 ttl=228 time=102.252ms

 64 bytes from 204.111.111.1: icmp_seq=3 ttl=228 time=72.152ms

 64 bytes from 204.111.111.1: icmp_seq=4 ttl=228 time=82.942ms


결과를 보면 총 5회에 걸쳐서 목적지 서버에 데이터를 보내고 응답받은 시간을 맨 오른쪽에 표시 한다.

응답이 오지 않거나 시간이 1000ms 이상 걸리면 중간에 문제가 발생 한 것이라 생각 하면 된다.



telnet 사용법


서버접속은 되지 않고 위와같이 ping테스트를 했는데도 이상이 없으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종료 되었는지 확인 해야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telnet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telnet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

ping [목적지 IP주소] [어플리케이션 port 정보]

ex) ping 204.111.111.1 9002


사용 결과는...


telnet 204.111.111.1 9002

trying 204.111.111.1

Connected to 204.111.111.1

Escape character is '^]'.


위와 같이 결과가 나오면 목적지 서버의 접속은 물론이고 해당 어플리케이션도 정상 동작 한다고 볼 수 있다.

telnet: Unable to connect to remote host: Connection refused

와 같은 결과를 보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종료 되었거나 방화벽이 막혀있는지 확인해 본다.





traceroute 사용법


ping 테스트 결과가 느리거나 접속이 안되면 traceroute를 이용해서 어떤 라우터에서 문제를 일으키는지 살펴 보아야 한다.


traceroute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

traceroute [목적지 IP주소]

ex) traceroute 204.111.111.1 9002


사용 결과는...


traceroute 204.111.111.1

traceroute to 204.111.111.1 (204.111.111.1), 64 hops max, 40 byte packets

1 204.112.111.2 1.428 ms 0.850 ms 0.655 ms

2 204.113.113.3 1912.428 ms 1910.850 ms 1911.655 ms

3 204.111.111.1 1.827 ms 1.850 ms 1.655 ms


위와같이 결과를 보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거쳐가는 라우터의 응답시간을 모두 확인 할 수있다.

빨간 글씨로 되어있는 부분을 주목해 보면  1900 ms가 넘어 간다.

이말은 1.9초 정도 걸린다고 봐야 하는데 네트워크상 이정도면 엄청 느리고 문제가 있다고 봐야한다.


반응형

'인프라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WAN( Wide Area Network )  (0) 2017.10.06
[네트워크] IP 주소  (0) 2017.10.04
[네트워크] LAN(Local Area Network)  (0) 2017.10.03

IP 주소


집에도 주소가 있듯이 네트워크 기기에도 IP 주소 라는 것 있다.

내가 인터넷을 할 때 특정 URL(http://www.... )을 입력 하면 이것이 IP 주소로 변환 되어 내가 원하는 싸이트에 접속하게 된다.

또한 게임을 할 때도 서버에 접속을 하게 되는데 그 서버에 대한 주소도 곧 IP이다.


IP 주소는 라우터를 통한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해 필요 하다.



IP주소와 클래스


IP 주소는 2진수 32개이며 사람이 보기 좋게 10진수로 표기 되어있다.


10진수 표기 : 192.168.0.0

2진수 표기 :   11000000 10101000 00000000 00000000


또한 IP 주소는 클래스A~클래스E까지 5가지 이며 사용자가 할당 할 수 있는 주소는 클래스 A~클래스 C 범위이다.


 시작 주소

 클래스

 1~126

 A

 128~191

 B

 192~223

 C



공인 주소와 사설 주소


NIC(Network Information Center)단체에서 전 세계 어디서라도 공인 주소가 중복되지 않게 관리하고 있다.

인터넷에 접속 할 때는 공인 주소를 사용하며 외부와 접속 하지 않는 폐쇄 네트워크는 (조직 내, 회사 등등) 임의의 주소를 사용해도 된다.

여기서 임의의 주소란 RFC1918에 공인 주소로 사용되지 않는 범위 내의 주소라 할 수 있다.


 사설 주소 

  공인 주소로 사용되지 않는 범위 내의 주소

 공인 주소

  전세계 어디서도 중복되지 않는 NIC에서 관리하는 주소



[주소변환]

한 네트워크 단말기에 공인,사설 IP를 입력 할 수 없다.

사내에서 사설 IP를 입력을 하고 해당 단말의 데이터가 사외로 나가면 라우터나 방화벽을 통해서 공인 주소로 변경 된다.



위와 같이 사내에서 데이터가 나갈 때는 사실 IP로 나가지만 라우터를 통해 사외로 데이터가 나가면 주소가 변경 된다.





반응형

LAN


오늘날 여러 디바이스( PC, 핸드폰 등등 )을 통해 여러 사람들과 데이터를 주고 받고 인터넷을 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서 이러한 일들이 가능 할 수 있었다.

오늘 배울 LAN( Local Area Network )은 네트워크의 한 종류로서 소규모 네트워크에 속한다.

여기서 초점을 맞출 부분은 인프라적인 요소 즉 하드웨어의 구성을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LAN의 구성


우선 이해하기 쉽게 그림을 먼저 보도록 하겠다.



우리가 인터넷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하드웨어 적인 요소가 위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지금 사용하는 PC는 랜선 혹은 무선으로 인터넷이 가능 할 수 있는 이유는 L2스위치 덕분이다.

집에서 사용하는 랜선을 꽂을 수 있는 허브등을 스위치라 한다.


이러한 스위치 앞에 라우터라는 것이 있다.

라우터는 수신한 패킷을 적절한 경로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비이며 WAN 즉 외부와 통신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이다.

인터넷에는 무수한 로컬 네트워크(LAN)가 있는데 각 LAN끼리는 라우터를 통해 연결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스위치의 종류


스위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프레임이라는 용어가 등장할 것인데 

프레임이란 L2스위치에서는 패킷이 아닌 프레임이라고 명칭한다.

패킷 = 프레임 = 네트워크 상 데이터


[L2스위치]

L2 스위치에 프레임이 들어오면 MAC 주소를 보고 적절한 포트에 프레임을 전송 한다.

(MAC 주소 : 각 네트워크 카드에는 고유의 식별 값이 있다. 이것을 MAC 주소라 한다. )


[L3스위치]

L2 스위치에 라이터 기능이 추가된 스위치이다.

L3스위치에 패킷이 들어오면 목적지 IP 주소를 보고 적절한 포트로 패킷을 전송한다.


[L4스위치]

L3 스위치에 로드밸런서 ( 부하 분산 기능 ) 기능이 추가된 스위치이다.

IP, TCP/UDP를 보고 적절한 포트로 패킷을 전송한다.


[L7스위치]

L3 스위치에 로드밸런서 ( 부하 분산 기능 ) 기능이 추가된 스위치이다.

URL을 보고 적절한 포트로 패킷을 전송한다.


반응형

'인프라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WAN( Wide Area Network )  (0) 2017.10.06
[네트워크] ping, traceroute, telnet 사용법  (0) 2017.10.05
[네트워크] IP 주소  (0) 2017.10.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