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와 타입


변수는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저장 장소다. 프로그램 개발시 데이터를 저장 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들어 프로그램 사용자가 두개의 값을 숫자를 입력을 한다.

프로그램은 그 숫자를 어딘가 저장을 해야 한다. 변수는 바로 이 저장 역활을 맡는다.

변수 타입은 데이터 종류를 말한다. 변수가 숫자인지 문자인지 데이터 형을 통해 확인 한다.



데이터 형(data type)


자바에서 정의 할 수 있는 데이터형은 아래 표와 같다.

데이터 형

 설명

 boolean

 true 혹인 false 두 가지 값을 가진다.

 char

 2바이트 문자

 byte

 1바이트 정수 (-128~127)

 short

 2바이트 문자 (-32768 ~ 32767 )

 int

 4바이트 정수 ( -2147483648 ~ 2147483647 ) 

 long

 8바이트 정수 ( -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 ) 

 float

 4바이트 단정도 부동 소수 

 double 

 8바이트 단정도 부동 수소 




반응형

strlen 문자열 길이를 확인 하는 함수


사용자가 선언한 char 배열 안에 담겨져 있는 문자열의 길이를 확인 하는 함수 있다.

char 배열 안에 문자가 얼만큼 들어있는지, 문자열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는데 유용하다.



strlen 사용법


strlen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

size_t strlen( const char * )

ex) 

int size = strlen( str );

printf( "size[%d]", size );


예제를 통해 좀더 자세히 확인해 보겠다.

#include <stdio.h>

#include <string.h>


int main()

{

char str[100] = "안녕하세요" ;

int strSize = strlen(str);

printf( "strSize[%d]\n", strSize );

}


 실행 결과

 strSize[10]

 계속하려면 아무 키나 누르십시오...


str[100] -> 배열은 100byte 선언을 했지만 해당 변수에 담겨져 있는 값은 "안녕하세요" 한글 5글자만 넣었다.

한글은 한글자 당 2byte 이므로 strlen 결과는 총 5글자 * 2byte = 10byte가 나와야 한다.

위에 실행 결과를 보면 strSize는 10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반응형

WAN


한 조직내에서는 LAN을 통해 자유롭게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그러나 거리상에 멀리 떨어지거나 한 건물에 있지 않은 다른 조직 혹은 회사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려면 어떻게 해야 될까?

만약 A조직은 서울 B조직은 부산에 있다고 하자.

각 조직은 같은 건물에 있고 LAN으로 구성 되어 있다면 A 조직에서 B조직의 LAN에 어떻게 접속 할 수 있을까?

바로 WAN( wide Area Network )이 두 조직간에( 두 개의 LAN ) 연결을 해줄 수 있는 다리 역활을 한다.



WAN의 구성


우선 이해하기 쉽게 그림을 먼저 보도록 하겠다.


A 조직 본사와 A 조직 지사는 같은 회사지만 다른 건물을 사용하고 멀리 떨어져 있다.

이 둘 사이를 연결 해주는 것이 WAN이며 광역이더넷을 사용하였다.

그렇다면 A 조직 본사와 B조직 ( 다른 회사 ), 일반 가정집은 어떻게 연결하게 될까?

이들 사이도역시 WAN이 다리역활을 하며 인터넷을 통해 서로가 연결 될 수있도록 되어 있다.


[WAN 구축 운영 관리]

WAN은 국가에 통신 사업자 등록, 신고 한 전기 통신 사업자가 WAN을 관리하며

대표적인 회사는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가 있다.





반응형

'인프라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ping, traceroute, telnet 사용법  (0) 2017.10.05
[네트워크] IP 주소  (0) 2017.10.04
[네트워크] LAN(Local Area Network)  (0) 2017.10.03

ping, traceroute, telnet 사용법


특정 서버가 접속이 되지 않을 때 확인 할 수 있는 유용한 명령어 사용법을 설명하겠다.

ping은 목적지 서버를 통하는 네트워크 상태를 체크 합니다.

telnet은 목적지 서버의 해당 어플리케이션까지 살아 있는지 확인 합니다.

traceroute는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라우터를 모두 추적합니다.



ping 사용법


ping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

ping [목적지 IP주소]

ex) ping 204.111.111.1


사용 결과는...


ping 204.111.111.1

PING 204.111.111.1 (204.111.111.1) : 56 data bytes

 64 bytes from 204.111.111.1: icmp_seq=0 ttl=228 time=92.552ms

 64 bytes from 204.111.111.1: icmp_seq=1 ttl=228 time=95.352ms

 64 bytes from 204.111.111.1: icmp_seq=2 ttl=228 time=102.252ms

 64 bytes from 204.111.111.1: icmp_seq=3 ttl=228 time=72.152ms

 64 bytes from 204.111.111.1: icmp_seq=4 ttl=228 time=82.942ms


결과를 보면 총 5회에 걸쳐서 목적지 서버에 데이터를 보내고 응답받은 시간을 맨 오른쪽에 표시 한다.

응답이 오지 않거나 시간이 1000ms 이상 걸리면 중간에 문제가 발생 한 것이라 생각 하면 된다.



telnet 사용법


서버접속은 되지 않고 위와같이 ping테스트를 했는데도 이상이 없으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종료 되었는지 확인 해야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telnet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telnet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

ping [목적지 IP주소] [어플리케이션 port 정보]

ex) ping 204.111.111.1 9002


사용 결과는...


telnet 204.111.111.1 9002

trying 204.111.111.1

Connected to 204.111.111.1

Escape character is '^]'.


위와 같이 결과가 나오면 목적지 서버의 접속은 물론이고 해당 어플리케이션도 정상 동작 한다고 볼 수 있다.

telnet: Unable to connect to remote host: Connection refused

와 같은 결과를 보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종료 되었거나 방화벽이 막혀있는지 확인해 본다.





traceroute 사용법


ping 테스트 결과가 느리거나 접속이 안되면 traceroute를 이용해서 어떤 라우터에서 문제를 일으키는지 살펴 보아야 한다.


traceroute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

traceroute [목적지 IP주소]

ex) traceroute 204.111.111.1 9002


사용 결과는...


traceroute 204.111.111.1

traceroute to 204.111.111.1 (204.111.111.1), 64 hops max, 40 byte packets

1 204.112.111.2 1.428 ms 0.850 ms 0.655 ms

2 204.113.113.3 1912.428 ms 1910.850 ms 1911.655 ms

3 204.111.111.1 1.827 ms 1.850 ms 1.655 ms


위와같이 결과를 보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거쳐가는 라우터의 응답시간을 모두 확인 할 수있다.

빨간 글씨로 되어있는 부분을 주목해 보면  1900 ms가 넘어 간다.

이말은 1.9초 정도 걸린다고 봐야 하는데 네트워크상 이정도면 엄청 느리고 문제가 있다고 봐야한다.


반응형

'인프라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WAN( Wide Area Network )  (0) 2017.10.06
[네트워크] IP 주소  (0) 2017.10.04
[네트워크] LAN(Local Area Network)  (0) 2017.10.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