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443) 썸네일형 리스트형 [Unix/Linux] vi, vim ^M 제거 vi, vim ^M 제거윈도우에서 작성한 파일을 Unix/Linux상에 올리면 개행 문자가 깨져서 ^M가 보이는 경우를 봤을 것이다.이것은 윈도우에서는 CRLF 가 개행인데 Linux/Unix에서는 LF가 개행이라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면 된다.[CR,LF 뜻]라인피드(LF : Line Feed) => 현재 위치에서 바로 아래로 이동캐리지리턴(CR: Carriage return) => 커서의 위치를 앞으로 이동설명은 이정도로 하고 제거 방법을 알아 보자vi, vim에서 제거 하는 방법결론부터 말하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s/^M//g위에서 ^M는 ^+M 이 아니고 Ctrl + v + m 이다.vi에서 입력한 각 명령어에 대해 설명 하겠다.: --> vi,vim에서 명령어를 입력 하겠다는.. [C] 줄바꿈 종류 [ 라인피드(LF), 캐리지 리턴(CR)] 줄바꿈 종류 (LF, CR)C,C++ 에서 문자열을 처리할 때 줄바꿈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쓰이는것이 라인피드(LF : Line Feed) 와 캐리지리턴(CR: Carriage return) 두 가지가 존재하는데 각각의 정의와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두 종류의 차이와 설명 라인피드(LF : Line Feed) => 현재 위치에서 바로 아래로 이동 캐리지리턴(CR: Carriage return) => 커서의 위치를 앞으로 이동 [각 사용법]printf("Line Feed \n"); printf("Carriage Retrun \r"); 위와 같이 라인피트는 \n을 사용하며 캐리지 리턴은 \r을 사용한다. 아래 예제를 보면서 이해를 돕도록 하겠다. [ Carriage Return 예제 ]..... [책 리뷰] 라틴어 수업 이 책은 저자가 대학에서 라틴어 수업을 강의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실제 강의는 어땠는지 모르지만 책에 있는 내용은 라틴어 언어 공부 보다는 라틴어 단어에 담겨져 있는 어원의 에피소드,로마의 역사, 언어의 변천사등 다양한 내용들을 담고 있기 때문에 너무 긴장하고 보지 않아도 된다.각 챕터마다 새로운 내용 작은 교훈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책을 썼으며 총 28가지 내용을 담고 있으며 마지막에는 제자들이 저자에게 편지를 쓰는 것으로 책이 마무리 된다.많은 사람들이 이 책 읽거나 저자의 강의를 듣고 많은 위로와 울림이 있었던 것 같다.나의 느낀점은 심적은 변화 보다는 라틴어가 많은 유럽 언어재의 모태가 되고 있다는 생각에 공부 해보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물론 쉽지 않을 것이다. 영어도 잘 못하는데 영어.. [java] 이클립스 (eclipse) 최적화 방법 이클립스(Eclipse) 최적화 방법Eclipse는 자원을 많이 차지하는 무거운 툴이다. 컴퓨터의 사양이 좋다면 많은 문제가 없겠지만 여러개의 프로그램이 실행 되고 사양도 좋지 않다면 툴을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가 있다. 이클립스 최적화를 통해 CPU, 메모리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방법과 개발하는데 많이 사용되는 설정 값을 공유 하겠다. 이클립스 최적화remote system explorer operation 순번 작업 명 방법 1 자동 빌드 해제 Project -> Build Automatically체크를 해제 한다. Project -> Build ALL 혹은 Ctrl + B 를 통해 수동으로 가능 2 소스 자동 폴딩 해제 Preferences > Java > Editor > Folding ->.. [C] 구조체 배열과 포인터 구조체 배열과 포인터사용자가 정의한 자료형인 구조체를 이용한 배열, 포인터 선언 및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다. 구조체도 자료형이기 때문에 배열과 포인터 사용이 가능 하며 일반 변수와는 조금 다르게 맴버 접근 연산자를 통해 구조체의 맴버 변수를 접근 하는 방법을 잘 봐두길 바란다. 구조체 배열 구조체의 배열을 선언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struct human person[3]; 구조체 배열을 사용 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int main(void) { ... preson[0].age = 10; .... printf(" %s is %d year old \n", person[0].name, person[0].age ); .... } 위와 같이 3개의 배열중 어떤 값을 접근 할 지 정하는 배열 위치.. [java] eclipse 자동 빌드 ( Build Automatically ) 끄기 Eclipse에서 자동 빌드 끄기저 사양 PC거나 소스가 많을 경우 Build Auomatically를 활성화 시키면 Eclipse가 느리게 동작하는 경우가 있다. 수동으로 빌드 시키는 방법이 있으니 Eclipse가 느리게 동작 하는 경우 자동 빌드를 꺼보자 자동 빌드 끄기 (Build Automatically Disable) 방법 remote system explorer operation 상단 메뉴에 Project -> Build Automatically 누른다. 수동 빌드 하는 방법 remote system explorer operation 상단 메뉴에 Project -> Build ALL 혹은 Ctrl + B 를 누른다. [java] eclipse "remote system explorer operation" 끄는 방법 Eclipse에서 remote system explorer operation 끄는 방법Eclipse에서 Remote System Explorer Operation는 원격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plugin이다. 해당 plugin 때문에 저 사양 PC에서 Eclipse가 느리게 동작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기능을 끄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Remote System Explorer Operation Disable 방법 remote system explorer operation 상단 메뉴에 Windows -> Preferences 누른다. Windows -> Preferences -> General -> Startup and Shutdown -> RES UI 체크 해제 Windows -> Preferen.. [C] 구조체 구조체하나 이상의 변수를 그룹화 하여 새로운 자료형을 정의 하는 것을 구조체라 한다. 구조체 안에 변수는 int, char, 배열, 포인터, 또다른 구조체등 어떤 것이든 상관없다. 구조체 정의/선언 방법 사람이라는 구조체를 정의 해보자. 구조체 안에 담아야 할 변수는 이름과, 나이 두가지만 정의 해보도록 하겠다.struct human { char name[50]; // 이름 int age; // 나이 }; 구조체가 위와 같이 정의 되었으니 선언해서 사용할 준비를 해보자. ... int main(void) { struct human jack, mike; ... return 0; } 위와같이 human 구조체를 jack, mike 라는 변수 선언을 하므로써 구조체 사용 준비가 완료 되었다. 아래는 구조체 정.. 이전 1 ··· 38 39 40 41 42 43 44 ··· 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