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봇의 발전이 사회 혹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고싶고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 대한 궁금함 때문에 '로봇의 부상'이라는 책을 보게 되었다.

이책은 로봇이 눈부시게 발전 하면서 조금씩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고 있다는 내용을 다뤘다.


(책을 빌렸기 때문에 혹시 몰라서 바코드 부분은 그림판을 이용하여 가렸습니다. ^^;;)


저자는 현재 로봇의 발전으로 인간의 능력을 따라가거나 혹은 초월 하는 사태가 현재도 벌어지고 있다고 한다.

기업은 적은 인력으로 더 많은 이윤 창출을 위해 로봇을 도입함으로써 예전 시대보다 더 적은 인력으로 더 많은 돈을 벌어들이고 있다고 설명한다.

로봇이 인간을 대체하는 분야는 일부 제조업에서 의사, 선생, 작가, 예술가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조금씩 잠식해 들어감으로써

인간이 일자리를 조금씩 잃을 것이라 전망하고 있다.


책을 보는 내내 암울한 느낌이 들었다. 지금 이순간에도 인간이 로봇에 대체되는 예를 설명할 때마다 놀라웠으며 앞으로 사람이 어떤 교육을 받고

어떻게 살아야할지 깊게 생각하게 되었다.


지금 세계에 로봇이 얼마나 뛰어나고 어떻게 활용되며 앞으로 로봇들로 인해 우리들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고 싶으면 이책을 한번 보길 권합니다.



반응형

'책 서평 > 자기 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리뷰]초의식 독서법  (0) 2017.03.06
[책 리뷰] 정해진 미래  (0) 2017.01.15
[책 리뷰]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  (0) 2016.12.18
[책 리뷰] 그릿(GRIT)  (0) 2016.12.14
[책 리뷰] 대통령의 글쓰기  (0) 2016.11.26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의 이해 2



소켓 연결 과정


두개의 컴퓨터가 어떻게 연결이 되는지 하나하나 설명 하도록 하겠다.

모든 네트워크 프로그램 개념은 동일 하다.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만들 때 언제나 Server와 Client가 짝을 이루어 만들어야 한다.

일단 Server가 하는일 부터 설명 하겠다.


1. socket을 생성한다.

   모든 프로그램이 소켓을 생성하는 함수가 있다 보통 함수명은 socket 이며 언어 마다 이름은 다를 수 있지만 반드시 존재한다.

2. 소켓에 주소정보 할당

   우리가 누구에게 전화를 하려면 고유한 전화번호를 알고 있어야 한다.

   그와 마찬가지로 어떤 컴퓨터가 내 컴퓨터를 접속 하려고 하면 내 컴퓨터 주소를 알아야 하며 그 주소를 할당해 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런 함수를 bind라 하며 거의 모든 프로그램 언어가 비슷한 명을 사용한다. ( 컴퓨터의 주소 체계는 앞에서 설명 하였다. )

3. 연결 수신 대기 상태

   client가 연결을 시도하면 받을 수 있도록 해당 소켓을 listen 소켓으로 설정한다.

   이렇게 listen 상태로 바꾸는 함수는 대부분 listen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는 함수를 사용한다.


4. client의 연결 시도

   서버가 연결을 받을 준비가 되어 있으므로 클라이언트에서는 서버에 연결을 시도한다.

   이때 클라이언트는 connect 함수를 사용하며 위에서 서버 소켓을 설정할 때 입력 했던 IP, PORT를 입력 한다.

5. 연결 수락

    client가 연결을 요청하면 server에서는 수락을 하여야 한다.

    여기서 수락하는 함수 명은 accept이며 수락과 동시에 또하나의 소켓이 생성 된다.

    listen으로 설정된 소켓은 또 다른 client의 연결을 받기위해 계속 대기 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연결이 완료되면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다.

다음이 위의 그림까지 python을 이용하여 프로그래밍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의 이해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의 이해



두 컴퓨터간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을 하는 것을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이라 한다.

인터넷 망을 통한 디바이스( 예를들어 핸드폰 )과 컴퓨터간의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도 역시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이라 한다.

요즘은 어떤 프로그래밍을 해도 네트워크가 들어가는 경우가 많이 있다.

SNS, 채팅, 게임, IOT, 클라우드 등등 다 인터넷이 안되면 동작 하지 않는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네트워크 프로그램은 어떠한 언어로 구현하여도 개념이 거의 동일하니 개념을 잘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두 컴퓨터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려면 물리적 연결이 필요한데 이러한 연결을 도울수 있는 것을 소켓(socket)이라 한다.

두개의 컴퓨터가 연결이 되면 아래 그림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렇게 연결이 되면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여기서 Server는 연결을 대기하는 컴퓨터이며 Client는 연결을 시도하는 컴퓨터를 뜻 한다.

Server는 여러 Client를 연결 받아서 관리 할 수도 있다.

모든 데이터 송수신 작업이 끝나면 소켓을 닫으면 두개의 컴퓨터 연결을 사라진다.


컴퓨터의 주소 (IP, PORT)


우리가 누구에게 전화를 하려면 고유한 전화번호를 알고 있어야 한다.

또한 친구 집에 찾아 가려면 친구 집 주소가 있어야 찾아간다.

그와 마찬가지로 어떤 컴퓨터가 내 컴퓨터를 접속 하려고 하면 내 컴퓨터 주소를 알아야 하며 그렇다면 컴퓨터에서의 주소는 어떻게 표현이 되는가?

바로 컴퓨터에서의 주소를 IP와 PORT를 사용 한다. 

IP는 어떤 컴퓨터인지를 식별하며 하나의 컴퓨터에서 PORT는 어떤 프로그램이냐를 식별한다.


예를 들어 내컴퓨터에서 온라인 게임을 실행 시키면 내부적으로 211.111.11.1 IP에 PORT 10을 넣어 게임 프로그램 서버로 접속 하게 된다는 이야기다.


오늘은 네트워크 프로그램에 대한 이야기와 컴퓨터 주소에 대한 설명을 하였다 다음에는 두 컴퓨터가 연결이 되는 과정을 설명 하도록 하겠다.

반응형

"세계행복보고서"에 따르면 1번을 제외하고 매년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 1위는 덴마크라고 한다. 

나 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이 행복을 꿈꾼다.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 사람들의 삶이 궁금하며 이들의 삶을 조금 본 받으면 지금보다 나은 삶을 살 수 있을까 싶어

이책을 꺼내 들었다.



일상에서의 행복을 추구하는 것 바로 이것이 휘게인데 덴마크에서는 

휘게릭한 삶을 살며 이들의 문화, 생활, 음식, 장식등을 소개를 한다.

북유럽이라 겨울의 해가 짧아 실내에서 생활 하는 이들은 집에 벽난로, 양초,각종 장식품으로

아름답게 실내를 꾸며놓는다.

마치 우리나라에서 예쁜 카페를 보는듯한 실내 인테리어를 보는듯 하다.


저자는 행복을 연구하는 사람으로써 인간의 행복이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이 인간관계라고 말하고있다.

덴마크의 사람들의 삶을 자세히 소개했으며 책을 다 보는 순간 나도 집에 양초라도 하나 갖다 놓고 싶다는 생각이 들게끔 한다.

또한 책에는 사진이 많이 첨부 되어있어 책을 보는 내내 내 마음이 편안해 지는 느낌을 갖었다.



행복한나라 덴마크 휘게에 대한 이야기 오랜만에 기분이 좋아지는 책을 만난것 같다.




반응형

+ Recent posts